DSR (Debt Service Ratio): DSR은 대출 상환능력 지표로서, 대출자의 총소득 대비 이자와 원금 상환액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즉, DSR은 대출자의 월소득 대비 대출 상환금액의 비율을 나타내며, 이 지표가 높을수록 대출 심사에서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LTV (Loan-to-Value Ratio): LTV는 대출 금액 대비 담보물 가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대출 금액이 담보물 가치의 몇 퍼센트인지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LTV가 낮을수록 대출 심사에서 유리하며, 높을수록 대출 상환능력에 대한 우려가 커집니다. RTI (Ratio of Total Debt Service to Income): RTI는 DSR과 유사한 지표로, 대출자의 총소득 대비 대출 상환금액의 비..
오피스텔은 주택이 아니다. 그러나 지금 DSR 적용으로 인해서 대출이 거의 안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자금이 많이 없는 계약자에 경우 사업자 대출을 받아야 한다. 모든 담보대출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도금액이 상정된다. 담보대출 한도 = 담보 감정 가치 * LTV(담보비율) - 최우선변제금 서울에 2억원짜리 주거용 오피스텔을 70% LTV로 대출받는다고 가정해보면 2억원의 70%인 1억4000만원에서 서울의 최우선 변제금액인 5000만원을 제외한 9,000만원이 대출 가능 한도다.. ** 최우선 변제금액 = 방공제(방빼기) = 보증금을 떼어먹히는 임자인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입만 되어있으면 최우선으로 5천까지 변제한다. 실제로 주거용 원룸 오피스텔 매매가의 50%가 대출이 된다고 생각하면 계산..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